반응형

 

 

치과 임플란트 환자의 전신질환 평가 가이드

전신 평가의 중요성

임플란트가 보편화됨에 따라 다양한 연령과 질환을 가진 환자들이 치료를 받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전신질환 여부를 평가하고, 내과적 협진이 필요합니다.

기본 검사 및 병력 청취

시진, 청진, 촉진, 타진과 같은 기본 검사는 물론, 가족력과 현재 복용 중인 약물, 과거병력 등을 상세히 확인해야 합니다.

생체신호 검사

혈압, 맥박, 호흡수, 체온은 수술 전 환자의 안정성과 전반적인 생리 상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화학적 검사

CBC, 전해질 검사, 혈액응고 검사 등은 임상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행합니다. 정밀 진단을 통해 안전한 시술을 도모합니다.

CBC 검사 정리

항목 정상 수치 의의
백혈구 수 5,000~10,000/mm³ 염증 반응, 면역 상태
적혈구 침강 속도(ESR) 상대적 수치 만성염증, 류마티스 질환
혈소판 수 150,000~450,000/mm³ 지혈 능력 평가

요검사 및 응고장애 검사

요검사를 통해 당뇨 및 신장질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출혈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bleeding time, PT, PTT 검사가 필요합니다.

출혈 시간 및 아스피린 복용

아스피린 복용자는 수술 1주일 전 복용 중단을 고려해야 하며, bleeding time과 PT 검사를 통해 출혈 위험을 미리 파악해야 합니다.

항응고제 조절 및 INR 관리

  • Coumadin: 복용 중단은 수술 3~4일 전, 또는 heparin으로 대체
  • Heparin: 수술 6시간 전 중단
  • INR 기준: 2.0 이하이면 대부분의 치과 치료 가능

🦷 안전한 임플란트 수술, 정확한 검사에서 시작됩니다!

전신질환이 있다면 반드시 사전에 검사를 완료하고, 필요 시 내과 전문의와 협진을 받아야 합니다. 환자의 안전은 철저한 준비로부터 시작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