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치과 임플란트 구성요소 및 시스템 완벽 정리

반응형

 

목차

  1.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 구성
  2. 임플란트 시스템의 진화
  3. 1회 vs 2회 수술법
  4. 임플란트 형태에 따른 분류
  5. 지대주-고정체 연결 방식
  6. 임플란트 직경 및 폭경 구분
  7. 임플란트 표면 처리 방식
  8. 임플란트 길이와 직경 선택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 구성

임플란트 보철물은 지대주 나사, 코핑 또는 실린더, 보철물 유지 나사로 구성됩니다. 이 구성요소들은 나사 유지형 혹은 시멘트 유지형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으로 설계됩니다.

임플란트 시스템의 진화

초기의 IMZ 시스템과 같은 원통형 임플란트는 실패율이 높아 현재는 나사산(thread) 형태의 임플란트가 주로 사용됩니다. 브로네막 교수의 연구를 통해 발전된 이 시스템은 초기 고정과 골융합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여줍니다.

1회 수술법 vs 2회 수술법

1회 수술법

구강 내까지 일체형으로 식립되어 2차 수술이 필요 없습니다. 감염 예방에 유리하며, 수술 횟수 감소로 환자 부담이 적습니다.

2회 수술법

연조직 아래에 고정체를 식립하고 후속 수술을 진행합니다. 감염 및 상피조직 증식 위험이 있으나, 특수한 케이스에는 필요합니다.

임플란트 형태에 따른 분류

  • 직선형: 시술은 쉬우나 초기 고정이 어려울 수 있음
  • 치근형: 초기 고정 우수하나 시술 난이도 있음
  • 쐐기형: 최근 주류

지대주-고정체 연결 방식

외부 연결 방식

초기 보편화된 방식으로 호환성이 뛰어나지만, 마이크로갭 및 나사 풀림 가능성 존재

내부 연결 방식

Internal hexMorse taper 방식으로 접촉 면적이 넓고, 세균 침투 및 치주염 위험이 적습니다.

임플란트 직경 및 폭경 구분

  • 좁은 직경: 3.25mm 이하
  • 표준 직경: 3.75~4mm
  • 넓은 직경: 5mm 이상

폭경이 1mm 증가할 때 임플란트 표면적은 약 33% 증가합니다.

임플란트 표면 처리 방식

첨가형

HA 피복, TPS, Endopore 방식 등

삭제형

Osseotite®, SLA, BBM 등

복합형

SLA, TiUnite 등 복합 기술

임플란트 길이와 직경

표준 직경은 골과의 접촉 면적과 수술 안정성 모두에서 균형이 좋습니다. 과도한 직경은 수술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표: 임플란트 구성요소 요약

항목 설명
보철물 구성 지대주 나사, 코핑, 유지 나사
연결 방식 외부 / 내부 (Internal hex, Morse taper)
수술법 1회 수술 / 2회 수술
임플란트 형태 직선형, 치근형, 쐐기형
표면 처리 SLA, HA 피복, BBM 등
직경 구분 좁은 / 표준 / 넓은 직경

📌 임플란트, 정확한 선택이 중요합니다!

환자의 구강 상태와 치료 목표에 따라 적절한 임플란트 시스템을 선택하는 것이 성공의 핵심입니다. 치과의사와 상담을 통해 가장 안정적인 임플란트 치료 계획을 세워보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