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치과 임플란트 구성요소 완전 정리|고정체·지대주·보철물까지
임플란트 구성 요소
치과 임플란트는 고정체(Fixture), 지대주(Abutment), 보철물(Superstructure)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요소는 저작 기능과 심미성을 복원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임플란트 고정체(Fixture)
1. 상부 구조
임플란트 상부는 지대주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회전 방지 구조, 위치 인계 구조, 교합 안정성을 고려하여 설계됩니다.
최근에는 platform switching 또는 conical connection 방식이 도입되어 cervical collar가 없는 임플란트가 주류입니다.
2. 몸체 구조
임플란트 몸체는 실린더형 구조로, 내부가 비어 있는 hollow basket cylinder 또는 solid cylinder로 나뉘며, 나사형이 생체역학적으로 우수합니다.
형태에 따라 직선형(straight)과 치근형(tapered)으로 나뉘며, 나사(thread)의 피치, 깊이, 미세나사/거대나사 등도 다양한 형태로 존재합니다.
3. 첨부(Apex)와 길이
첨부는 비틀림 저항성을 제공하며, 임플란트 길이는 5~24mm까지 다양합니다. 길이가 길수록 응력 분산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실제 응력은 대부분 경부(cervical)에서 발생합니다.
임플란트 지대주(Abutment)
지대주는 잇몸을 통해 보철물과 연결되는 부분으로, 유지 방식과 각도,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됩니다.
1. 유지 방식에 따른 분류
- 나사 유지형: 주조 방식으로 하나로 제작
- 시멘트 유지형: 기성/맞춤형 지대주 사용
2. 구조에 따른 분류
- 분리형 vs 일체형 지대주
- 기본형(Standard), Conical, Multi-unit, Customized Abutment
3. 각도에 따른 분류
- 직선형: Straight
- 각도형: 5°, 15°, 25°
4. 특수용도 지대주
피개의치용 전용 지대주도 존재하며, 제조사에 따라 호환성이 다릅니다.
요약 정리 표
반응형
구성요소 | 설명 |
---|---|
고정체 (Fixture) | 골 내에 심는 실린더형 구조. 나사형이 일반적 |
지대주 (Abutment) | 임플란트와 보철물을 연결. 형태·각도 다양 |
보철물 | 가시적으로 보이는 치아 역할 |
경부 (Cervical Collar) | 2mm 높이의 광택 표면. 최근에는 생략 추세 |
첨부 (Apex) | 비틀림 저항 구조. 길이에 따라 분산 효과 |
임플란트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신가요? 지금 댓글로 궁금한 점을 남겨주세요! 전문가들이 빠르게 답변드립니다.
반응형
'치아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과 임플란트 환자의 구강 내 검사 (0) | 2024.06.19 |
---|---|
치과임플란트 치료의 적응증, 금기증 (0) | 2024.06.19 |
치과임플란트 환자의 전신평가 (0) | 2024.06.19 |
치과 임플란트 구성요소 2 (0) | 2024.06.19 |
치과 임플란트 환자의 전신질환 평가 (0) | 2024.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