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여행다니는 치과위생사 쭈 :: 여행다니는 치과위생사 쭈
반응형

치과교정학의 정의

과거 치과교정학의 정의는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것, 구강과 얼굴의 성장을 연구하고 그 성장에서 방해받는 것을 교정하는 것이라고 말했었다.

오늘날의 정의는 얼굴의 정상적인 성장을 연구하고 부정교합을 개선해 사회적&심리적인 건강에 기여하는 치의학의 일부이다.

 

부정교합의 문제점

1. 충치 발생 빈도가 증가한다.

2. 잇몸 질환이 증가한다.

3. 정상적인 발음이 어려울 수 있다.

4. 저작기능이 떨어질 수 있다.

5.악관절 장애가 생길 수 있다.

6. 얼굴 비대칭이 생길 수 있다.

7. 얼굴 모양이 변해 심미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8. 심리적 위축 및 대인관계 형성,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9. 근육에 안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

10. 치아 보철 치료가 어려울 수 있다.

 

교정치료의 목적

1. 치열 교정으로 충치 예방

2. 치은 및 치근막 조직의 병적 상태 제거

3. 발음장애, 저작장애, 악변형증 개선

4. 안좋은 습관 개선

5. 심리적 장애 개선

 

성장발육의 개요

성장발육 정의

성장이란 생물의 양적 변화이다. 크기가 증가하는 해부학적 현상을 의미한다.

발육이란 기능을 포함해서 점차 성숙해가는 질적 변화를 의미한다.

 

성장발육의 법칙

1. 신경형 (Neural type)

뇌, 척수와 이것들을 감싸고 있는 두개골과 척추는 초기에 성장한다.

 

2. 일반형 (General type)

골격, 근육, 호흡기, 소화기, 신장, 안멸골(상악골, 구개골, 하악골, 설골)의 성장은 5세때와 사춘기 전후로 많은 성장을 보인다.

 

3. 생식기형 (Genital type)

고환, 난소, 유방등 생식기와 성호르몬은 사춘기 전에는 성장이 거의 없다가 사춘기 때 급격한 성장을 한다.

 

4. 림프형(Lymphoid type)

아네노이드, 편도, 림프선은 사춘기 이전인 12세까지 성장이 끝난다. 사춘기때는 거의 200%까지 성장하게 된다.

그 후 점점 퇴화해 20세 쯤 정상수치가 된다.

 

성장과 발육연령

1. 시간적 연령 

개인마다 다양해 좋은 지표가 되지는 못한다.

 

2. 발육 연령

개인마다 키, 몸무게, 이차성징, 치아맹출, 골의 석회화 등이 지표가 된다. 

(1) 키와 체중 (신체 성숙도)

사춘기때 키 성장이 증가한다. 키와 안면골의 최대 성장기 시기는 비슷하거나 키 성장기가 조금 빠르게 나타난다.

(2) 이차성징 (성적 성숙도 : sexual maturity)

남자는 치모, 액모, 외부생식기 발육, 음성의 변화가 나타난다.

여자는 치모, 액모, 유방의 발육, 초경이 나타난다.

여성 초경의 시기는 보통 사춘기 성장이 끝 난 직후가 일반적이다. 이는 안면골 성장시기와 연관성이 있다.

(3) 치아 연령과 교합 발육 관계

치아 석회화 상태, 치근형성 정도, 치근단 폐쇄 정도로 평가한다.

평가할 때 방사선 사진을 사용해서 추정할 수 있다.

(4)골 연령

수완부 방사선 사진(hand wrist radiograph)으로 많이 평가한다.

사진에서 엄지 손가락의 종자골(sesamoid bone)이 나타나면 1~2년 늦게 키가 급격하게 증가한다.

 

악골의 성장발육

1. 상악골

상악골은 태어나고 2~3개월동안 좌우로 상악돌기가 정중방향으로 나오고 위에서 내려오는 비전두돌기와 합쳐지면서 나타난다.

상악골의 전후방 성장으로는 전치부 전방발육과 상악 결절부 후방발육으로 이루어진다.

상악골의 측방 성장은 보통 정중구개 봉합부위에서 발생한다. 

 

2. 하악골

하악골 자체는 후상방 성장을 한다. 이는 결과적으로 하악골의 전하방 성장을 의미한다.

 

치아와 치열의 성장발육

1. 치아의 성장발육

태어난 지 6주쯤 치배(tooth germ)가 생긴다.

치배의 분화단계는 뇌상기(bud stage), 모상기(cap stage), 종상기(bell stage)로 진행된다.

 

2. 치열의 성장발육

* 유치열

유치열의 성장 : 출생 후 6개월~2년까지 맹출한다.

유치 맹출이 치아 사이로 공간이 생긴다.

상악 유견치의 근심과 하악 유견치의 원심에 공간이 생기는데 이는 유치열 완성시기때 정상적인 공간이다.

약 5세쯤 유전치 사이에 공간이 생기는데 이는 악골의 성장발육에서 생기는 현상이기 때문에 발육공극(development space)이라고도 불린다.

 

반응형
반응형

치과 임플란트 2차 수술

치과 임플란트(Implant) 1차 수술 이후 하악은 약 3개월, 상악은 약 6개월의 기간이 필요합니다.

이 기간이 지난 후 식립 부위 잇몸을 절개 해 고정체(fixture)에 연결 된 커버 스크루(cover screw)를 제거한다.

제거 후 지대 주(abutment)를 장착하는 과정이 치과 임플란트(Implant) 2차 수술이라고 한다.

 

1. 2차 수술 시 고려해야 할 사항

① 올바른 각화치은의 폭 확보
② 미적인 부분의 평가
③ 치은 두께 조절
④ 구강 전정의 깊이
⑤ 적절한 크기의 지대주 선택
⑥ Emergence profile 확보

* Emergence profile은 치조골 상부 치은에서 구강으로 노출되는 부분까지의 외형이다.

  이는 주변 치아 및 연조직과 조화를 이루어야하며, 심미적으로 보기 좋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가능해야 한다.


2. 2차 수술 시 필요한 기구

치과 임플란트(Implant) 2차 수술 시 필요한 기구는 아래와 같다.

- 수술 set : 치과 임플란트(Implant) 1차 수술 때와 마찬가지로 수술 set를 준비한다.
- Cover screw 제거를 위한 hex driver 

- 제거 된 cover screw 대신 체결 할 healing abutment

- Hand torque driver와 tip
- 고정체(Fixture)의 직경에 맞는 크기의 healing abutment, 필요 시 tissue punch도 함께 준비한다.

 

3. 2차 수술 과정


1) 환자 준비: Chlorhexidine 액으로 환자의 구강 외를 소독하고, 구강 내 수술 부위는 10% povidone iodine으로 소독한다.
2) 고정체 식립 부위 확인: 방사선 사진과 surgical stent로 고정체 식립 위치를 확인한다.
3) 마취: 최소한의 마취를 시행한다.
4) 구강점막의 절개와 Cover screw 노출: 잇몸 절개를 통해 cover screw를 노출시킨다. 이때 tissue punch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5) Cover screw 제거: 육각형 screw driver를 사용하여 cover screw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거한다.
6) 치유지대주(healing abutment)의 장착: 치유지대주를 선택하여 고정체 hole에 연결한다.
7) 봉합: 치유지대주를 연결 후 지대주 주위의 점막을 잘라내어 봉합한다.

 

4. 수술 후 처치 및 주의사항

1) 수술 후: 수술 후 필요에 따라 항생제 및 진통제를 투여 및 처방한다.


2) 술후 1일째: 부종, 출혈, 동통, 마비 등을 검사하고 소독합니다.

3) 술후 1주째: 2차 수술 1주일 후 상처 치유 상태를 확인하고 봉합사를 제거한다. 

4) 술후 2주째: 치유지대주 장착 2주 후 연조직이 치유되어 인상을 채득 할 수 있는 정도가 되면 인상채득을 진행한다.

 

5. 2차 수술의 종류

 

1) 티슈 펀치를 사용하는 경우 : 각화치은이 충분히 존재하고 치조골의 폭경이 충분한 경우에 tissue punch를 사용하여 임플란트가 식립된 부위를 노출시킨 후 치유지대주를 연결한다. 이 방법은 정확한 임플란트 위치를 파악해야 하며, 하악에서 얇은 연조직을 통해 cover screw가 비치는 경우에 주로 시행합니다.

2) 근단위판막술을 사용한 증례: 수평 절개를 하여 전층 판막을 형성한 후 협측의 수직 절개를 시행하여 치유지대주를 연결한다. 치유지대주를 연결한 후 형성된 판막을 치유지대주 하방에 위치시킴으로써, 협측 각화치은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봉합 시에는 치간 부위에 2차 융합을 도모하기 위해 느슨하게 봉합합니다.

 

4) 유리치은이식술을 사용한 증례: 유리치은이식술은 협측의 각화치은 증가를 위해 사용되는 술식이다. 부분층 판막을 형성한 후 구개부에서 얻은 이식편을 고정하고 봉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각화치은의 양을 늘릴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치과 임플란트(Implant)수술

1. 상악동 거상술(Sinus floor elevation)

상악동 거상술(Sinus Floor Elevation)은 상악 구치부에서 치조골의 흡수가 많아 상악동과의 거리가 가까울 때, 상악동에 있는 점막을 들어 올려서 점막과 상악동 바닥 사이에 골 이식을 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하기에 적합한 골의 높이로 만들어 주는 수술이다.

상악동 거상술은 상악 구치부 영역에서 상악동과의 거리가 짧은 경우에 주로 시행되며, 이를 통해 상악동에 있는 점막을 격리하여 골 이식을 할 수 있습니다.

 

2. 상악동 거상술 진행 과정

① 환자의 상악동 측벽에 치은을 박리하고 low speed angle에 round bur 또는 diamond bur를 사용하여 윈도우(window) 모양의 구멍을 형성한다.
② 상악동용 수술 기구를 사용하여 상악동 바닥을 덮고 있는 점막을 서서히 거상시키면서 점막을 들어올려준다.
③ 거상된 공간에 골 이식을 진행한다.
④ 차폐막을 사용하여 수술부위를 덮고 봉합한다.

⑤ 잔존하고 있는 골의 양에 따라 골 이식과 동시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기도 하며, 6~9개월 후에 골이 충분히 형성된 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기도 합니다. 


3. 절골도(Osteotome)

상악에서 상악동과의 거리가 충분하지 않지만 일정 수준의 골이 보존되어 있는 경우, 상악동 거상술을 하지 않고 치조골에 작은 구멍을 형성하여 상악동 점막을 거상시키거나 골 이식을 통해 원하는 골의 높이로 형성하여 즉시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는 수술입니다. 이러한 방법은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하기에 부적합한 상황에서도 임플란트를 즉시 시행할 수 있는 대안적인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4. 치조골 폭경 증대술(Ridge splitting)


치조골의 폭이 좁아지고 높이는 충분한 경우, 치조골 분할술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수술은 치조골을 부분적으로 분할하여 그 폭을 넓혀주는 과정을 포함하며,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에 넓혀진 치조골에 골 이식을 시행하여 골의 형성에 의한 폭의 증가를 유도하는 수술 기술입니다.

치조골 분할술은 치조골의 형태를 조절하고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며, 좁은 폭을 가진 치조골을 확장시킴으로써 임플란트를 안정적으로 식립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를 통해 골 이식을 통해 골의 형성에 의한 폭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치조골 분할술은 정확한 평가와 계획을 토대로 수행되어야 하며, 전문가의 손에 의해 신중하게 진행되어야 합니다. 수술 후 적절한 관리와 안정화 기간을 거친 후에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습니다.

* 자가혈 유래 이식재(Autologus blood-derived graft material, PRP, PRF)
자가혈 유래 이식재는 현재 치과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는 치료 재료이다. 혈소판 풍부 혈장(Platelet Rich Plasma; PRP)과 혈소판 풍부 피브린(Platelet Rich Fibrin; PRF)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구강 내 조직의 지혈과 염증반응을 조절하여 통증과 종창 없는 치유를 촉진하는 보조제로 사용된다.
- 혈소판 풍부 혈장(PRP): PRP는 환자의 자신의 혈액을 이용해 제조되며, 혈소판이 풍부하게 함유된 혈장이다. 치아 임플란트나 수술 부위에서 치유 과정을 가속화 하기 위해 사용된다.
- 혈소판 풍부 피브린(PRF): PRF는 PRP보다 높은 자가혈청을 가지고 있으며 혈소판과 섬유소를 더 많이 포함하고 있다. 치주 재건, 잇몸 이식 및 교정 치료 등 다양한 치조골 수술에 적용되어 치료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된다.


5. 수술 후 처치


수술 후 처치 중 하나로 방사선 촬영이 있습니다. 이때는 수술 후에 적절히 배치된 고정체의 기울기, 길이, 간격 및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방사선 사진을 촬영한다.


-수술 후 처치 및 주의사항
1. 수술 부위가 넓거나 복잡하고 수술 시간이 길었거나 점막 박리가 심각한 경우, 환자가 통증을 호소할 수 있으므로 수술이 끝난 후 즉시 진통제를 복용하거나 주사합니다.
2. 수술 부위를 거즈로 압박 지혈하고 종창을 감소시키기 위해 냉찜질을 하며, 스테로이드 제제를 근육주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항생제, 소염진통제, 소화제를 5~7일 정도 처방하고 수술 부위를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합니다.
3. 환자에게 양치법, 동통조절, 지혈 등 주의사항이 포함된 안내문을 전달하여 자가 관리하도록 도와줍니다.

-임플란트 수술 후 주의사항
1. 거즈는 1시간 후에 뱉습니다.
2. 매일 구강소독액으로 2~3번 양치하고, 48시간 동안 수술 부위에 냉찜질을 합니다.
3. 수술 당일은 미음, 술 후 2~3일은 유동식, 3~7일은 연성 음식을 섭취한다.
4. 술과 담배는 1달 동안 삼가고, 운동은 2~3일 동안 삼가야 합니다.
5. 나사가 풀릴 경우 반드시 치과를 방문하여 확인받아야 합니다.
6. 수술 후 2일 동안은 높은 베개를 사용하여 잠을 자고, 코피가 생길 경우 코를 세게 풀지 않도록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치과 임플란트(Implant) 1차수술 과정 (2)

 

5) 치과 임플란트(Implant) 식립


치과임플란트(Implant) 식립 초기에는 저속의 핸드피스를 사용합니다.

마지막으로 hand wrench를 사용하여 식립합니다.

Hand wrench를 사용할 때 과도한 열이 발생하여 치조골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주사기에 식염수를 담아 뿌려줘야합니다.

식염수는 열을 흡수하고 냉각시켜 줍니다. 때문에 열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치조골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6) Cover screw 체결


치과임플란트(Implant)를 식립하고 cover screw를 연결합니다. cover screw 연결을 하면 치과임플란트(Implant)구멍과 주변 가장자리에 연조직과 골조직의 개재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일부 경우에는 바로 치유지대주(Healing abutment)를 연결하여 연조직을 밖으로 노출시켜 2차 수술을 생략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방법은 간편하고 환자에게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7) 봉합

 

흡수성 봉합사로는 바이크릴(Vicryl)이나 비흡수성 봉합사로는 나이론(4-0, 3-0)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봉합사를 사용하여 상처를 닫고 처치하는 것은 수술 후의 치유를 도와주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봉합사의 말단이 환자의 점막이나 혀를 자극하여 불편감을 줄이기 위해 봉합 부위에 Perio-cline(minocycline hydrochloride)을 짜서 바르기도 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고 잇몸의 깨끗한 치유를 돕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Perio-cline은 항생제입니다. 봉합 부위의 감염을 예방하고 치유과정을 원활히 돕는 역할을 합니다.

 

8) 치과 임플란트(Implant)식립 시 골이식


치과임플란트(Implant)를 식립하기 전이나 식립과 동시에 치조골의 상태가 부적절한 경우, 골의 높이와 너비를 증가시켜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식되는 골의 종류로는 자가골, 이종골, 인공골 등이 있습니다. 보통 자가골이 이식 효과가 가장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치과임플란트(Implant)수술 중에는 인접골이나 하악 전치부 하방, 하악 구치부 후방, 상악 구치부 후방 등에서 자가골을 채취하여 사용하는 것이 흔히 있습니다. 채취한 골과 인공골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골의 복원과 치과임플란트(Implant)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골 조직 채취가 제한적인 경우가 있어 다른 종류의 이식재가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 골유도재생술(GBR)
골유도재생술(Guided Bone Regeneration, GBR)은 치주조직과는 관련이 없는 무치부위에서 차폐막을 사용하여 공간을 확보합니다. 그 후 골결손부 내로 골모세포(osteoblast)의 유입을 유도하여 치조골 재생을 촉진하는 수술 기술입니다.

이는 단일 조직인 골조직을 재생시키는 것으로, 주로 치과임플란트(Implant)식립 직후나 식립 이후 주변 골결손부의 복구에 많이 사용됩니다.
이식되는 골은 덩어리의 블록 형태로 이식할 수도 있고, 작은 알갱이 모양의 골 조각 상태로 이식할 수도 있습니다.

골결손부에 자가골과 인공골을 혼합하여 이식한 후 차폐막을 사용하여 골 생성을 촉진시킵니다.

차폐막은 대부분 스스로 흡수되지만, 필요에 따라 흡수되지 않는 차폐막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비흡수성 막을 사용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2차 수술 시에 제거합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차폐막을 고정하기 위해 miniscrew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Miniscrew는 차폐막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데 도움을 주며, 수술 중 골유도재생술의 성패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을 요약해보겠습니다.


치과임플란트(Implant) 식립
- 식립시에는 저속의 핸드피스를 사용하고, 최종적으로 hand wrench를 사용하여 식립합니다.
- Hand wrench 사용 시 과도한 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식염수를 사용하여 열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치조골을 보호합니다.
- Cover screw를 연결하여 임플란트 구멍과 주변 가장자리에 연조직의 개재와 골조직의 개재를 방지합니다.
- 흡수성 봉합사로는 바이크릴(Vicryl), 비흡수성 봉합사로는 나이론(4-0, 3-0)을 사용합니다.
- 봉합 부위에 Perio-cline을 바르는 것으로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치유를 돕습니다.
- Perio-cline은 봉합 부위 감염을 예방하고 잇몸의 건강한 치유를 지원합니다.
-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전이나 식립과 동시에 골이식이 필요한 경우 자가골, 이종골, 인공골 등의 골을 사용합니다.
- 자가골은 이식 효과가 좋아 가장 흔히 사용됩니다.
-골유도재생술(GBR): 무치부위에서 차폐막을 사용하여 골결손부 내로 골모세포의 유입을 유도하여 치조골 재생을 촉진하는 수술 기술입니다. 자가골과 인공골을 혼합하여 골 생성을 촉진시키고, 필요에 따라 차폐막을 사용하여 골유도재생을 진행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치과 임플란트(Implant) 1차 수술과정

치과임플란트(Implant) 1차수술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치과임플란트(Implant) 수술 부위 마취


치과임플란트(Implant) 1차 수술 전 무통 치료와 환자의 두려움 해소를 위해 도포마취제를 해당 수술 부위에 바릅니다.

무통 주사기로 천천히 국소마취제를 투여합니다.

많은 개수의 임플란트를 심거나 수술 시간이 길고 복잡하거나, 구강 내 골이식이나 치은이식이 필요한 경우에는 의식진정하에서 장시간 지속되는 국소마취제가 추천됩니다.

골량과 골질이 매우 불량한 경우에는 전신마취하에서 자가 장골이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치과임플란트(Implant)수술 부위 잇몸 절개 및 골노출


치과임플란트(Implant)수술 부위 잇몸 절개 및 골노출은 임플란트 치료의 성공과 미적 측면에 중요하다.

대부분 부착치은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치조정에서 절개합니다. 때로는 구개측이나 협측으로도 절개할 수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신경이나 혈관이 적게 지나가는 부위를 선택하여 절개하고 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수술 후 부종과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수술 시야를 확보하고 연조직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수직 절개와 골막 절개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기본적인 절개 방법에는 치조정 절개, 열구 절개, 수직 절개, 이완 절개 등이 있습니다.

 

3. 치과임플란트(Implant) 식립 위치 표시

 

치과임플란트(Implant)의 식립 위치를 표시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치과임플란트(Implant) 식립 할 부위를 편평하게 다듬고, 준비한 치과임플란트(Implant)스텐트를 삽입합니다.

이러한 치과임플란트(Implant)스텐트는 치과임플란트(Implant)의 위치를 정확히 가이드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2. 치과임플란트(Implant)의 식립 위치를 확인하고, guide drill(작은 원형 bur나 뾰족한 끝이 달린 bur)을 사용하여 치과임플란트(Implant)를 식립 할 위치를 표시합니다. 이 과정은 치과임플란트(Implant)가 정확한 위치에 식립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3. 표시된 식립 부위에서 피질골을 천공하여 실제로 임플란트가 식립될 부위를 정확히 표시합니다. 

 

4. 치과임플란트(Implant) 1차 수술 진행 시 드릴링 순서

(1) Twist drill(2mm)
2mm 직경의 트위스트 드릴을 사용하여 피질골에 천공을 하게 됩니다.

식립을 정확히 맞추기 위해, 적당한 방향과 근원심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핀을 삽입 후 방사선 사진을 찍습니다.

이런 작업을 통해 임플란트의 식립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합니다. 

 

(2) Pilot drill (2/3mm)
최종 깊이까지 드릴링을 완료한 후, 아래 부분은 2mm이고 위 부분은 3mm인 파일럿 드릴(23mm pilot drill)을 사용하여 윗부분을 넓혀나갑니다. 이 과정에서 골에 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증류수를 충분히 뿌려줍니다. 상하운동을 반복하면서 서서히 진행해야 합니다. 이는 임플란트의 안정성과 식립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입니다.


(3) Twist drill(3mm)
3mm 직경의 트위스트 드릴을 사용하여 계획된 최종 식립 깊이까지 드릴링을 진행합니다. 이 단계는 임플란트를 안정적으로 식립시키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드릴링 프로세스 중에는 적절한 속도와 압력을 유지하며 정확한 깊이에 도달할 수 있도록 조심스럽게 작업해야 합니다. 드릴링이 완료되면 임플란트를 식립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4) Countersink 형성
이 단계는 임플란트의 모양이 위쪽이 약간 넓을 때, 윗부분이 피질 높이보다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윗 부분을 조정하는 과정입니다. Countersink 드릴을 사용하여 임플란트의 머리 부분이 골 속으로 완전히 들어가도록 위쪽 드릴링 입구를 약간 넓힙니다. 최근에는 임플란트와 지대부 연결 부위의 발전으로 이 과정을 생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임플란트의 안정성과 조직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5)마지막 드릴링
최종 twist drill의 직경을 조절하는 것은 치과임플란트(Implant)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작업입니다.

하악골에서는 4mm 임플란트를 심기 위해 3.25~3.7mm twist drill로 한 번 더 드릴링함으로써 적합한 크기의 구멍을 만들어줍니다.
골질이 부드러운 상악골에서는 4mm 임플란트를 심기 위해 3mm twist drill보다 더 작은 직경의 드릴을 사용하여 먼저 구멍을 확보합니다.

 

(6) 치과임플란트(Implant)식립 부위 나사산 형성(pretapping)
치과임플란트(Implant)삽입을 위해서는 골질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기술과 절차가 필요합니다.

단단한 하악골에서 4mm 임플란트를 심기 위해 3mm twist drill로 먼저 드릴링을 한 후, 임플란트를 식립할 때 과도한 내부 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미리 골 삭제 내면 부위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치과임플란트(Implant)가 식립되는 동안 치과임플란트(Implant)의 나사에 의해 나사산이 형성됩니다. 깎인 골이 나사 사이를 채워줌으로써 초기 고정을 강화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치과 임플란트 수술 준비과정

반응형

1. 손 씻기

  • 손과 장갑 사이의 세균 번식 방지를 위해 장갑 착용 전후 3분 이상 손을 세척
  • 액세서리 제거 및 손톱 짧게 유지
  • 전자식 수도꼭지 및 액체형 비누 사용
  • 팔꿈치까지 깨끗이 타월로 닦기

2. 가운 입기

  • 멸균 가운의 안쪽이 열리도록 펼쳐 술자가 쉽게 착용 가능하게 준비
  • 비멸균 부위 접촉 주의, 끈으로 고정하여 마무리

3. 멸균 수술용 장갑 착용

  1. 멸균 장갑의 접단을 위로 하여 준비
  2. 오른손으로 왼손 장갑 착용 → 왼손으로 오른손 장갑 착용
  3. 접단이 가운 위로 올라오도록 착용하며 멸균 부위만 접촉
 

4. 치과 임플란트 기구 준비

  • 기구는 진료 순서대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정리
  • Suction line 연결 및 towel clamp로 고정하여 멸균 상태 유지

5. 임플란트 엔진과 핸드피스 준비

  • 엔진 전원 및 작동 확인
  • 핸드피스는 sani-sleeve로 감싸거나 멸균 호스 사용
  • Saline bag 부착 후 작동 여부 확인

6. 수술등 손잡이 준비

  • 손잡이 분리 가능 시 멸균 / 불가능 시 멸균 포일로 감싸기

7. 방사선 사진 준비

  • 환자의 파노라마 사진을 치과의사가 쉽게 볼 수 있도록 위치

8. 임플란트 Kit 준비

  • 회사 및 술자의 요구에 따라 Fixture 및 Kit 준비
  • 빠진 기구 확인 및 사용 편의성을 고려한 배열

요약 표

단계 내용
손 씻기 3분 이상 세척, 비누/수도꼭지 위생, 장신구 제거
가운 착용 안쪽이 열리게 착용, 끈으로 고정, 멸균 부위만 접촉
장갑 착용 오른손부터 착용, 비멸균 부위 접촉 금지
기구 준비 진료 순서대로 정렬, suction line 연결
엔진/핸드피스 전원 및 작동 확인, 멸균 상태 유지
수술등 손잡이 분리하여 멸균 또는 포일로 감싸기
방사선 사진 파노라마 사진 시야에 잘 보이게 배치
임플란트 Kit 기구 누락 여부 확인, 치과의사 사용 편의성 고려

🔍 임플란트 수술 준비를 철저히 하셨나요?

정확한 준비가 안전하고 성공적인 수술을 만듭니다. 체크리스트가 필요하시면 댓글로 요청해 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치과 임플란트 수술 시 고려해야 할 사항

반응형

수술 전 고려사항

1. 환자의 전신건강 및 병력 확인

  • 전신질환, 약물 알레르기, 마취 쇼크 위험성 확인
  • 면역력 저하 시 예방적 항생제 투여 고려

2. 구강 상태 검사 및 치료

  • 교합력, 연조직, 개구량, 골량 등 평가
  • 치주질환과 치아우식증 치료 후 구강 위생 교육

3. 결손부위의 공간 측정

  • 파노라마 및 CT를 통해 식립 공간 측정
  • 근원심 거리, 각도, 수직 공간 등 정밀 분석

4. 골질 및 해부학적 구조 평가

  • 골의 양, 질, 혈액 공급, 신경 분포 확인
 

5. 수술 전 약 복용 및 안내

  • 약 복용법 및 주의사항 설명서 제공
  • 수술 전날 충분한 수면 유도
  • 1시간 전 항생제 복용 지시
  • 수술 후 약 복용은 의사 지시에 따라 정확히

6. 수술 관련 심리적, 물리적 준비

  • 수술 과정 및 통증 관리 안내
  • 필요 시 근육주사 또는 국소 마취 사용

구강 소독 및 수술 시야 준비

1. 구강 내 세척 및 소독

  • 스켈링 후 헥사메딘으로 1분간 구강 세척
  • 헹구지 않고 소독 효과 유지 → 세균 60~80% 감소

2. 구강 외 소독

  • 턱부터 눈 아래까지 알코올+헥사메딘 소독
  • 얼굴 착색 방지를 위한 소독제 선택

3. 수술 시야 피복 및 보호

  • 소독되지 않은 부위는 멸균 소독포로 차폐

4. 구강 내 최종 소독

  • 10% 요오드화 포비돈으로 소독 후 생리식염수 세척

요약 표

구분 내용
전신병력 확인 전신질환, 약물 알레르기, 면역상태 평가
구강검사 골량, 교합력, 치은 상태, 우식 및 치주 상태 점검
영상검사 파노라마 및 CT로 식립 위치 및 공간 분석
약 복용 항생제 복용 및 약 복용법 설명
심리적 준비 충분한 수면과 통증 불안 완화
소독 및 피복 구강 내외 소독, 수술 시야 보호

✅ 임플란트 수술 전 준비가 궁금하신가요?

댓글로 질문을 남겨주시거나 치과에 문의해보세요. 준비가 철저하면 수술 결과도 더욱 좋아집니다!

반응형
반응형

 

 

치과 임플란트 수술 드릴 및 기구 관리법

반응형

드릴 준비 및 전달 방법

임플란트 드릴은 투명한 플라스틱 통에 보관되어 있으며, 외부에는 설명, 일련번호, 유효기간이 표기되어 있습니다. 포장을 열어 드릴을 트레이에 떨어뜨린 후 사용 준비를 합니다.

드릴링 시에는 충분한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여 열 발생을 방지하고, 드릴이 수술 부위를 향하게 하여 전달합니다. 드라이버, 커버스크류, 힐링 어버트먼트 등은 멸균된 상태로 준비해 술자가 잡기 쉽게 전달합니다.

임플란트 드릴 세척 및 소독

  1. 사용 후 드릴을 칫솔과 세제를 이용해 흐르는 물에 세척.
  2. 금속 용기에 담아 초음파 세척기에서 5분간 작동시켜 미세 오염 제거.
  3. 세척 후 흐르는 물에 헹군 뒤 3-way syringe로 완전 건조.
  4. 드릴을 kit에 재위치시킨 후, 이물질은 소독제로 닦아줌.
  5. 소독포로 포장 후 고압 멸균기에서 멸균.

고압 멸균: 3개월 유효 / EO가스 멸균: 6개월 유효

수술 후 기구 분류 및 멸균

1. 기구 분리

티타늄, 금속, 바늘, 주사기 등 각 소재별로 분리하여 손상 방지 및 효율적 멸균 준비.

2. 약액 침적

혈액 및 타액 제거를 위해 글루탈알데히드, 포비돈아이오딘 등으로 10분 이상 침적. 소독액은 혼합일자 표기 필수.

3. 세척 및 건조

흐르는 물과 솔로 구석구석 세척한 후 완전히 건조. 금속 기구는 따로 건조하여 부식 방지.

4. 포장 및 멸균

기구별 용도에 맞게 분류 포장 후, 121℃에서 30분간 고압 멸균. 포장 손상 및 습기 주의.

5. 보관

청결한 밀폐 공간에서 온도 26℃ 이하, 습도 30~60% 유지. 사용 전 재멸균 권장.

 

요약표

구분 내용
드릴 준비 포장 개봉 후 트레이에 놓고 생리식염수 준비
세척 방법 칫솔+세제 → 초음파 세척기 5분 → 3-way 건조
멸균 방법 소독포 포장 후 고압멸균 (121도 30분)
보관 조건 26℃ 이하, 습도 30~60%, 밀폐 공간
주의사항 기구별 분리 보관, 포장 손상 시 재멸균

🔍 더 많은 임플란트 수술 정보가 궁금하시다면?

하단 댓글이나 문의로 궁금한 점을 남겨주세요. 정기 업데이트로 치과위생사 및 술자분들을 위한 실전 정보도 공유드립니다!

반응형
반응형

치과 임플란트(Implant) 수술 시 사용되는 드릴 종류와 역할

반응형

Guide drill

Guide drill은 임플란트 수술에서 가장 먼저 사용되는 드릴로, 원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고 골에 구멍을 내는 데 사용됩니다. Round drill은 cortical bone(피질골)에서 미끄러지기 쉬워 불편할 수 있지만, lance drill은 뾰족한 끝으로 cortical bone을 정확히 뚫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올바른 Guide drill 사용은 수술 진행을 원활하게 합니다.

Twist drill

Twist drill은 골에 직접 접촉해 구멍을 형성하는 드릴입니다. 다양한 직경과 길이로 제공되어 임플란트 크기에 맞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정확하고 안전한 구멍 형성으로 수술의 성공률을 높입니다.

Drill Extension

Drill Extension은 인접 치아 등으로 인해 핸드피스 머리가 닿지 않는 경우 드릴 길이를 연장하는 도구입니다. 원통형 구조로 내부에 Twist drill 등을 삽입하여 길이를 연장하며, 정확한 위치에 구멍을 뚫을 때 유용합니다.

Pilot drill

Pilot drill은 Twist drill로 만든 구멍의 위치나 기울기를 조정하거나, 다음 단계인 2~4mm 구멍 확대 전에 진입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합니다. 정확한 위치와 크기 조절에 중요한 도구입니다.

Countersink drill

Countersink drill은 임플란트를 깊게 식립할 때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며, 단단한 피질골 부위 확대에 주로 사용됩니다. 임플란트의 안정성과 성공률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Tap drill

Tap drill은 삭제된 골 내면에 나사산을 형성해 임플란트 고정체가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돕는 도구입니다. 골질이 단단하지 않은 경우 생략할 수 있으며, 골 상태에 따라 사용 여부를 결정합니다.

Implant driver

Implant driver는 임플란트 고정체를 10~50rpm 속도로 식립할 때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정확하고 안정적인 힘을 가해 고정체를 올바른 위치에 삽입하며, 치료 결과 향상과 성공률 증가에 기여합니다.

Wrench & Adapter

Wrench & Adapter는 식립된 임플란트 고정체를 마지막으로 더 깊게 조절할 때 사용합니다. Ratchet wrench를 이용해 부드럽게 돌리며 고정체의 깊이를 추가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무리한 힘 사용은 도구 및 임플란트 손상을 유발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요약: 임플란트 수술에 사용되는 주요 드릴 종류 및 역할

드릴 종류 주요 역할 및 특징
Guide drill 수술 위치 표시 및 초기 골 천공, lance drill로 cortical bone 정확 타격
Twist drill 골에 직접 접촉해 구멍 형성, 다양한 크기로 제공
Drill Extension 드릴 길이 연장, 접근 어려운 부위 수술에 도움
Pilot drill 구멍 위치 조정 및 확대 전 진입 위치 안내
Countersink drill 임플란트 깊은 식립 위한 피질골 확대용
Tap drill 골 내면에 나사산 형성, 임플란트 삽입 용이화
Implant driver 임플란트 고정체 식립용, 저속으로 안정적 삽입
Wrench & Adapter 고정체 최종 조임 및 깊이 조절용, 무리한 힘 주의
 
반응형
반응형

 

치과 임플란트(Implant) 시 치과위생사의 역할과 수술 기구 및 관리법

반응형

1. 치과위생사의 임플란트 시술 관련 역할

치과위생사는 환자의 치아 및 구강 건강 지원뿐만 아니라 임플란트 수술 과정에서도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환자의 안전과 편안함을 위해 다양한 업무를 맡고 있습니다.

수술 전 역할

  • 환자 교육: 치료 과정을 이해하고 협조할 수 있도록 인쇄물과 정보를 제공하며 상세히 설명합니다.
  • 장비 및 물품 준비: 임플란트 수술에 필요한 모든 장비와 소모품을 사전에 준비하여 원활한 수술 진행을 돕습니다.

수술 중 역할

  • 치과의사 지원: 수술 중 치과의사를 적극 지원하며 환자의 안전을 지키는 역할을 합니다.
  • 멸균 시술 유지: 멸균 가운 착용과 함께 환자, 도구, 환경 등을 무균 상태로 유지하며 수술을 보조합니다.

수술 후 역할

  • 환자 관리: 수술 후 환자의 안전한 이동을 돕고, 주의사항을 정확히 이해했는지 확인하여 후속 관리를 지원합니다.

치과위생사는 환자와 치과의사 사이의 중요한 연결고리로서 환자 중심 치료 제공에 핵심적 역할을 합니다.

2. 임플란트 수술에 사용되는 기구 종류

임플란트 수술에 사용되는 기구는 수술 종류와 의료진의 선호도에 따라 다양하며, 대표적인 기구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임플란트 소켓 및 드릴: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드릴과 소켓
  • 스칼펠(Scalpel): 피부 및 조직 절개용
  • 포셉(Forceps): 임플란트 고정 및 조작용
  • 주사기 및 바늘: 마취 및 혈액 채취용
  • 핸드피스: 치아 발치 및 조직 분할용

각 기구는 환자의 상태와 수술 목적에 맞게 선택되며, 정밀하고 안전한 시술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3. 임플란트용 엔진의 역할과 관리

임플란트용 엔진은 골 삭제와 임플란트 식립, 보철물 연결에 사용되는 핵심 장비입니다.

  • 속도는 일반 핸드피스보다 낮은 10~2,000rpm으로 조절 가능
  • 골조직을 정밀하게 제거하고 임플란트를 안정적으로 고정
  • 다양한 속도와 토크 조절로 안전성과 정밀성을 확보

안전한 사용을 위해 제조사 권장 사양 준수와 전문 의료진의 관리가 필수입니다.

4. 임플란트용 핸드피스의 관리 및 소독 절차

핸드피스 연결 라인의 세척과 소독은 임플란트 수술 안전에 매우 중요합니다. 주요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세척: 증류수를 이용해 관 내 잔여물을 제거하여 모터 고장 예방
  2. 소독: 소독제로 표면 소독 후 고압 멸균 처리
  3. 즉시 청소 및 보관: 세제와 칫솔로 씻고, 머리 부분 분리 후 건조 및 오일링
  4. 자동 세척 및 오일링: 필요 시 자동장치로 추가 청소
  5. 포장 및 고압 멸균: 완전 건조 후 소독포에 싸서 멸균
  6. 에틸 알코올/증류수 세척: 3~5분간 저속 공회전 실시
  7. 수분 제거: 3-way syringe를 이용해 내부 공기 주입
  8. 최종 오일링 및 멸균: 뒷부분에서 오일 분사 후 멸균 처리

이 절차들은 환자의 안전을 보호하고 핸드피스의 최적 성능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요약: 치과 임플란트 시 치과위생사의 역할 및 장비 관리

구분 주요 내용
치과위생사 역할 수술 전 환자 교육, 장비 준비 / 수술 중 치과의사 지원, 멸균 유지 / 수술 후 환자 관리
임플란트 수술 기구 임플란트 드릴, 스칼펠, 포셉, 주사기, 핸드피스 등 다양
임플란트용 엔진 골 삭제 및 임플란트 식립용, 저속 및 고토크 조절 가능
핸드피스 관리 세척, 소독, 오일링, 멸균 절차를 엄격히 준수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