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치아건강' 카테고리의 글 목록 (5 Page) :: 여행다니는 치과위생사 쭈
반응형

치과 임플란트 환자의 전신질환 평가

 

 

임플란트 환자의 전신질환 평가와 치료 시 주의사항 총정리

혈액화학검사란?

혈액화학검사는 소량의 혈액으로 calcium, glucose, alkaline phosphatase, albumin 등 다양한 생화학 지표를 측정하여 전신질환 유무를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이는 임플란트 치료 계획 수립 전 필수적이며 조기진단과 치료 모니터링에 유용합니다.

문진 및 내과 협진 정보의 중요성

치과 내원 시 환자의 전신 건강 상태 파악을 위해 문진과 병력 청취는 필수입니다. 내과 치료 이력이 있다면 병원명, 담당 의사, 복용 중인 약물 정보를 기록해두는 것이 협진 판단과 응급 상황 예방에 도움됩니다.

전신질환별 치과 치료 시 주의사항

고혈압

  • 기준: 120/80mmHg 이상
  • 합병증: 뇌졸중, 심부전, 시력 저하
  • 주의사항: 에피네프린 사용 자제, 혈압 측정 필수

협심증

  • 증상: 흉통, 어깨 및 안면부 통증
  • 위험: 심근경색, 급사 가능성
  • 대응: 스트레스 완화, 응급약 준비

심근경색

  • 조건: 발병 6개월 후, 증상 없을 시 가능
  • 대응: 진통제, 니트로글리세린, 항응고제 주의

당뇨병

  • 기준: 공복혈당 140mg/dL 이상
  • 위험: 감염, 창상치유 지연
  • 대응: 오전 예약, 식사 후 치료 권장

COPD(만성 폐쇄성 폐질환)

  • 증상: 호흡곤란, 객담
  • 대응: 금연, 산소 공급 장비 준비

천식

  • 위험요소: 감정 스트레스, 냄새
  • 대응: 흡입기 준비, 에피네프린 비치

출혈성 질환 / 항응고제 복용

  • 대응: 내과 협의 후 약물 중단 여부 판단
  • 검사: 출혈시간, 응고검사 시행 필요

심장판막질환

  • 위험: 세균성 심내막염
  • 대응: 예방적 항생제 투여

갑상선 질환

  • 기능저하증: 점액수종 위험, 저혈압 주의
  • 기능항진증: 고혈압, 안구돌출, 체중 감소

골다공증

  • 위험: 악골 치유 지연 가능성
  • 대응: DEXA 검사, 칼슘/비타민D 섭취

전신질환 요약표

질환 주요 증상 치과 치료 시 고려사항
고혈압 혈압 상승, 두통 스트레스 완화, 에피네프린 주의
당뇨 고혈당, 감염 위험 식사 후 내원, 오전 시술 권장
심장병 흉통, 불규칙 맥박 항응고제 확인, 발작 대비
출혈성질환 자발적 출혈 응고 검사, 내과 협의 필수
COPD 기침, 호흡곤란 산소 공급 준비, 긴 시술 피함

환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

반응형

임플란트 시술 전, 전신질환 평가와 사전 준비는 필수입니다.
환자의 병력, 약물 복용 상태, 최근 건강 상태 등을 미리 치과에 알리시고, 내과 협진이 필요한 경우 반드시 사전에 상담을 진행하세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이나 상담 요청을 통해 문의주세요. 전문의가 직접 답변드립니다.

반응형
반응형

 

 

 

치과 임플란트 구성요소 완전 정리|고정체·지대주·보철물까지

임플란트 구성 요소

치과 임플란트는 고정체(Fixture), 지대주(Abutment), 보철물(Superstructure)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요소는 저작 기능과 심미성을 복원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임플란트 고정체(Fixture)

1. 상부 구조

임플란트 상부는 지대주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회전 방지 구조, 위치 인계 구조, 교합 안정성을 고려하여 설계됩니다.

최근에는 platform switching 또는 conical connection 방식이 도입되어 cervical collar가 없는 임플란트가 주류입니다.

2. 몸체 구조

임플란트 몸체는 실린더형 구조로, 내부가 비어 있는 hollow basket cylinder 또는 solid cylinder로 나뉘며, 나사형이 생체역학적으로 우수합니다.

형태에 따라 직선형(straight)치근형(tapered)으로 나뉘며, 나사(thread)의 피치, 깊이, 미세나사/거대나사 등도 다양한 형태로 존재합니다.

3. 첨부(Apex)와 길이

첨부는 비틀림 저항성을 제공하며, 임플란트 길이는 5~24mm까지 다양합니다. 길이가 길수록 응력 분산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실제 응력은 대부분 경부(cervical)에서 발생합니다.

임플란트 지대주(Abutment)

지대주는 잇몸을 통해 보철물과 연결되는 부분으로, 유지 방식과 각도,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됩니다.

1. 유지 방식에 따른 분류

  • 나사 유지형: 주조 방식으로 하나로 제작
  • 시멘트 유지형: 기성/맞춤형 지대주 사용

2. 구조에 따른 분류

  • 분리형 vs 일체형 지대주
  • 기본형(Standard), Conical, Multi-unit, Customized Abutment

3. 각도에 따른 분류

  • 직선형: Straight
  • 각도형: 5°, 15°, 25°

4. 특수용도 지대주

피개의치용 전용 지대주도 존재하며, 제조사에 따라 호환성이 다릅니다.

요약 정리 표

반응형
구성요소 설명
고정체 (Fixture) 골 내에 심는 실린더형 구조. 나사형이 일반적
지대주 (Abutment) 임플란트와 보철물을 연결. 형태·각도 다양
보철물 가시적으로 보이는 치아 역할
경부 (Cervical Collar) 2mm 높이의 광택 표면. 최근에는 생략 추세
첨부 (Apex) 비틀림 저항 구조. 길이에 따라 분산 효과

 

임플란트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신가요? 지금 댓글로 궁금한 점을 남겨주세요! 전문가들이 빠르게 답변드립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