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여행다니는 치과위생사 쭈 :: 여행다니는 치과위생사 쭈
반응형

반응형

치과임플란트 치료의 적응증, 금기증

 

 

치과 임플란트 치료의 적응증과 금기증 완벽 정리

 

임플란트 치료의 적응증

  • 치아 상실이 있으나 인접치아 삭제를 원하지 않는 건강한 성인
  • 악골 성장 완료 후 안정적인 치조골 상태를 가진 환자
  • 구강 위생 관리가 잘 되어 있는 환자
  • 수직적, 협설적, 근원심적으로 충분한 잔존 골이 존재하는 경우
  • 임플란트 치료에 대해 명확한 동기부여가 있는 환자
  •  

치과 임플란트 치료의 절대 금기증

  • 임신부
  • 정신질환자 또는 의심되는 환자
  • 협조가 어려운 환자
  • 성장기 아동
  • 임플란트 치료에 대한 동기부여 부족한 환자
  • 구강암, 급성 감염 보유자
  • 최근 심근경색 병력이 있는 환자
  • 출혈성 질환자 및 조절되지 않는 내과질환 환자

상대적 금기증과 평가

  • 원인불명의 안면통이나 삼차신경통
  • 골다공증 환자
  • 흡연자 및 심한 구강 악습관 보유자(이갈이 등)
  • 구강 위생이 극히 불량한 환자
  • 최근 1년 내 방사선 치료 병력 보유자
  • 기존 치아의 치주질환이 심각한 경우
  • 비현실적인 기대를 가진 환자

치과의사의 상담 절차

  1. 환자의 현재 구강 문제를 검사
  2. 심미적/기능적 요구 사항 파악
  3. 보철적 대안과 임플란트 치료 비교 설명
  4. 환자의 기대 수준이 현실적인지 판단

환자의 치료 동기와 정보 제공

환자가 임플란트 치료를 이해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심미적 요구나 치료 기간, 추가 수술의 필요성 등을 명확히 설명해야 합니다.

구강위생 상태 평가

임플란트 시술 전후 구강위생 상태는 치료 성공에 큰 영향을 줍니다. 교육과 관리를 통해 치태 조절이 가능해야 하며, 임플란트 주위염 예방이 필수입니다.

환자의 경제적 여건 고려

임플란트는 고비용 시술입니다. 환자의 예산에 따라 보철치료 전환도 고려하며, 치료 전 비용, 예후, 기간에 대해 정확히 설명하고 동의를 얻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구강 외 평가 항목

항목 평가 목적
턱관절 개구장애, 턱관절 질환 여부 평가
측면 안모 안모 조화, 상악/하악 위축 판단
연조직 및 안면 피부 주름, 함몰, 비순각 등 안모 변화 분석
미소선 보철물 설계 시 심미성 평가

📌 임플란트 치료의 적응 여부가 궁금하다면 가까운 치과에 방문해 전문가와 상담을 받아보세요!

 

반응형
반응형

 

 

치과 임플란트 환자의 전신질환 평가 가이드

전신 평가의 중요성

임플란트가 보편화됨에 따라 다양한 연령과 질환을 가진 환자들이 치료를 받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전신질환 여부를 평가하고, 내과적 협진이 필요합니다.

기본 검사 및 병력 청취

시진, 청진, 촉진, 타진과 같은 기본 검사는 물론, 가족력과 현재 복용 중인 약물, 과거병력 등을 상세히 확인해야 합니다.

생체신호 검사

혈압, 맥박, 호흡수, 체온은 수술 전 환자의 안정성과 전반적인 생리 상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화학적 검사

CBC, 전해질 검사, 혈액응고 검사 등은 임상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행합니다. 정밀 진단을 통해 안전한 시술을 도모합니다.

CBC 검사 정리

항목 정상 수치 의의
백혈구 수 5,000~10,000/mm³ 염증 반응, 면역 상태
적혈구 침강 속도(ESR) 상대적 수치 만성염증, 류마티스 질환
혈소판 수 150,000~450,000/mm³ 지혈 능력 평가

요검사 및 응고장애 검사

요검사를 통해 당뇨 및 신장질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출혈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bleeding time, PT, PTT 검사가 필요합니다.

출혈 시간 및 아스피린 복용

아스피린 복용자는 수술 1주일 전 복용 중단을 고려해야 하며, bleeding time과 PT 검사를 통해 출혈 위험을 미리 파악해야 합니다.

항응고제 조절 및 INR 관리

  • Coumadin: 복용 중단은 수술 3~4일 전, 또는 heparin으로 대체
  • Heparin: 수술 6시간 전 중단
  • INR 기준: 2.0 이하이면 대부분의 치과 치료 가능

🦷 안전한 임플란트 수술, 정확한 검사에서 시작됩니다!

전신질환이 있다면 반드시 사전에 검사를 완료하고, 필요 시 내과 전문의와 협진을 받아야 합니다. 환자의 안전은 철저한 준비로부터 시작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치과 임플란트 구성요소 및 시스템 완벽 정리

반응형

 

목차

  1.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 구성
  2. 임플란트 시스템의 진화
  3. 1회 vs 2회 수술법
  4. 임플란트 형태에 따른 분류
  5. 지대주-고정체 연결 방식
  6. 임플란트 직경 및 폭경 구분
  7. 임플란트 표면 처리 방식
  8. 임플란트 길이와 직경 선택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 구성

임플란트 보철물은 지대주 나사, 코핑 또는 실린더, 보철물 유지 나사로 구성됩니다. 이 구성요소들은 나사 유지형 혹은 시멘트 유지형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으로 설계됩니다.

임플란트 시스템의 진화

초기의 IMZ 시스템과 같은 원통형 임플란트는 실패율이 높아 현재는 나사산(thread) 형태의 임플란트가 주로 사용됩니다. 브로네막 교수의 연구를 통해 발전된 이 시스템은 초기 고정과 골융합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여줍니다.

1회 수술법 vs 2회 수술법

1회 수술법

구강 내까지 일체형으로 식립되어 2차 수술이 필요 없습니다. 감염 예방에 유리하며, 수술 횟수 감소로 환자 부담이 적습니다.

2회 수술법

연조직 아래에 고정체를 식립하고 후속 수술을 진행합니다. 감염 및 상피조직 증식 위험이 있으나, 특수한 케이스에는 필요합니다.

임플란트 형태에 따른 분류

  • 직선형: 시술은 쉬우나 초기 고정이 어려울 수 있음
  • 치근형: 초기 고정 우수하나 시술 난이도 있음
  • 쐐기형: 최근 주류

지대주-고정체 연결 방식

외부 연결 방식

초기 보편화된 방식으로 호환성이 뛰어나지만, 마이크로갭 및 나사 풀림 가능성 존재

내부 연결 방식

Internal hexMorse taper 방식으로 접촉 면적이 넓고, 세균 침투 및 치주염 위험이 적습니다.

임플란트 직경 및 폭경 구분

  • 좁은 직경: 3.25mm 이하
  • 표준 직경: 3.75~4mm
  • 넓은 직경: 5mm 이상

폭경이 1mm 증가할 때 임플란트 표면적은 약 33% 증가합니다.

임플란트 표면 처리 방식

첨가형

HA 피복, TPS, Endopore 방식 등

삭제형

Osseotite®, SLA, BBM 등

복합형

SLA, TiUnite 등 복합 기술

임플란트 길이와 직경

표준 직경은 골과의 접촉 면적과 수술 안정성 모두에서 균형이 좋습니다. 과도한 직경은 수술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표: 임플란트 구성요소 요약

항목 설명
보철물 구성 지대주 나사, 코핑, 유지 나사
연결 방식 외부 / 내부 (Internal hex, Morse taper)
수술법 1회 수술 / 2회 수술
임플란트 형태 직선형, 치근형, 쐐기형
표면 처리 SLA, HA 피복, BBM 등
직경 구분 좁은 / 표준 / 넓은 직경

📌 임플란트, 정확한 선택이 중요합니다!

환자의 구강 상태와 치료 목표에 따라 적절한 임플란트 시스템을 선택하는 것이 성공의 핵심입니다. 치과의사와 상담을 통해 가장 안정적인 임플란트 치료 계획을 세워보세요.


 

 

반응형
반응형

치과 임플란트 환자의 전신질환 평가

 

 

임플란트 환자의 전신질환 평가와 치료 시 주의사항 총정리

혈액화학검사란?

혈액화학검사는 소량의 혈액으로 calcium, glucose, alkaline phosphatase, albumin 등 다양한 생화학 지표를 측정하여 전신질환 유무를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이는 임플란트 치료 계획 수립 전 필수적이며 조기진단과 치료 모니터링에 유용합니다.

문진 및 내과 협진 정보의 중요성

치과 내원 시 환자의 전신 건강 상태 파악을 위해 문진과 병력 청취는 필수입니다. 내과 치료 이력이 있다면 병원명, 담당 의사, 복용 중인 약물 정보를 기록해두는 것이 협진 판단과 응급 상황 예방에 도움됩니다.

전신질환별 치과 치료 시 주의사항

고혈압

  • 기준: 120/80mmHg 이상
  • 합병증: 뇌졸중, 심부전, 시력 저하
  • 주의사항: 에피네프린 사용 자제, 혈압 측정 필수

협심증

  • 증상: 흉통, 어깨 및 안면부 통증
  • 위험: 심근경색, 급사 가능성
  • 대응: 스트레스 완화, 응급약 준비

심근경색

  • 조건: 발병 6개월 후, 증상 없을 시 가능
  • 대응: 진통제, 니트로글리세린, 항응고제 주의

당뇨병

  • 기준: 공복혈당 140mg/dL 이상
  • 위험: 감염, 창상치유 지연
  • 대응: 오전 예약, 식사 후 치료 권장

COPD(만성 폐쇄성 폐질환)

  • 증상: 호흡곤란, 객담
  • 대응: 금연, 산소 공급 장비 준비

천식

  • 위험요소: 감정 스트레스, 냄새
  • 대응: 흡입기 준비, 에피네프린 비치

출혈성 질환 / 항응고제 복용

  • 대응: 내과 협의 후 약물 중단 여부 판단
  • 검사: 출혈시간, 응고검사 시행 필요

심장판막질환

  • 위험: 세균성 심내막염
  • 대응: 예방적 항생제 투여

갑상선 질환

  • 기능저하증: 점액수종 위험, 저혈압 주의
  • 기능항진증: 고혈압, 안구돌출, 체중 감소

골다공증

  • 위험: 악골 치유 지연 가능성
  • 대응: DEXA 검사, 칼슘/비타민D 섭취

전신질환 요약표

질환 주요 증상 치과 치료 시 고려사항
고혈압 혈압 상승, 두통 스트레스 완화, 에피네프린 주의
당뇨 고혈당, 감염 위험 식사 후 내원, 오전 시술 권장
심장병 흉통, 불규칙 맥박 항응고제 확인, 발작 대비
출혈성질환 자발적 출혈 응고 검사, 내과 협의 필수
COPD 기침, 호흡곤란 산소 공급 준비, 긴 시술 피함

환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

반응형

임플란트 시술 전, 전신질환 평가와 사전 준비는 필수입니다.
환자의 병력, 약물 복용 상태, 최근 건강 상태 등을 미리 치과에 알리시고, 내과 협진이 필요한 경우 반드시 사전에 상담을 진행하세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이나 상담 요청을 통해 문의주세요. 전문의가 직접 답변드립니다.

반응형
반응형

 

 

 

치과 임플란트 구성요소 완전 정리|고정체·지대주·보철물까지

임플란트 구성 요소

치과 임플란트는 고정체(Fixture), 지대주(Abutment), 보철물(Superstructure)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요소는 저작 기능과 심미성을 복원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임플란트 고정체(Fixture)

1. 상부 구조

임플란트 상부는 지대주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회전 방지 구조, 위치 인계 구조, 교합 안정성을 고려하여 설계됩니다.

최근에는 platform switching 또는 conical connection 방식이 도입되어 cervical collar가 없는 임플란트가 주류입니다.

2. 몸체 구조

임플란트 몸체는 실린더형 구조로, 내부가 비어 있는 hollow basket cylinder 또는 solid cylinder로 나뉘며, 나사형이 생체역학적으로 우수합니다.

형태에 따라 직선형(straight)치근형(tapered)으로 나뉘며, 나사(thread)의 피치, 깊이, 미세나사/거대나사 등도 다양한 형태로 존재합니다.

3. 첨부(Apex)와 길이

첨부는 비틀림 저항성을 제공하며, 임플란트 길이는 5~24mm까지 다양합니다. 길이가 길수록 응력 분산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실제 응력은 대부분 경부(cervical)에서 발생합니다.

임플란트 지대주(Abutment)

지대주는 잇몸을 통해 보철물과 연결되는 부분으로, 유지 방식과 각도,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됩니다.

1. 유지 방식에 따른 분류

  • 나사 유지형: 주조 방식으로 하나로 제작
  • 시멘트 유지형: 기성/맞춤형 지대주 사용

2. 구조에 따른 분류

  • 분리형 vs 일체형 지대주
  • 기본형(Standard), Conical, Multi-unit, Customized Abutment

3. 각도에 따른 분류

  • 직선형: Straight
  • 각도형: 5°, 15°, 25°

4. 특수용도 지대주

피개의치용 전용 지대주도 존재하며, 제조사에 따라 호환성이 다릅니다.

요약 정리 표

반응형
구성요소 설명
고정체 (Fixture) 골 내에 심는 실린더형 구조. 나사형이 일반적
지대주 (Abutment) 임플란트와 보철물을 연결. 형태·각도 다양
보철물 가시적으로 보이는 치아 역할
경부 (Cervical Collar) 2mm 높이의 광택 표면. 최근에는 생략 추세
첨부 (Apex) 비틀림 저항 구조. 길이에 따라 분산 효과

 

임플란트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신가요? 지금 댓글로 궁금한 점을 남겨주세요! 전문가들이 빠르게 답변드립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